[을지대병원] 자다가 자지러지게 우는 아이, “괜찮을까"
상태바
[을지대병원] 자다가 자지러지게 우는 아이, “괜찮을까"
  • 을지대병원 신경과 장상현 교수
  • 승인 2019.08.26 16: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경과 정상현 교수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한 번 쯤은 한밤 중 갑자기 잠에서 깨어소리지르거나 우는 아이들때문에 잠을 설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어린이의 수면장애는 나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영아기 때는아이의 까다로운 성격때문인경우가 많고, 유아기에는 불안감, 학동기에는 천둥번개, 친구 및 선생님과의 관계, 일상의두려움 등 때문에발생한다.

아이들에게서 나타나기 쉬운 수면장애인 악몽, 야경증, 몽유병에 대해 을지대학교병원 신경과장상현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 악몽, 스트레스 체크부터

수면 중에 무서운 꿈으로 인해 깨는 악몽은 수면 후반부나 새벽에 잘 발생한다. 이 장애를가지고있는 아이들은 특징적으로 감정이 매우 격앙되어 있으며, 몽유병이나 야경증과는 달리 악몽을 현실과 혼동될 정도로 생생하게 기억한다.

악몽은 대개 3~5세 소아의 10~50%에서 나타나는데, 특히 10~12세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며, 특히 여아에서 2~4배 정도 더 흔하게 나타난다. 유병률은 1~6% 정도다.

악몽은 약 60% 정도에서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어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때에 그빈도나 강도가 더 심하게 나타난다. 아이들의 경우 입학, 전학, 이사 또는 두려움에 떨게하는사건, 텔레비전, 영화 시청 시 무서운 장면을 보고 생길 수 있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급성스트레스 장애의 주 증상이기도 하다.

을지대학교병원 신경과 장상현 교수는 소아에서의 악몽은 나이가 들면서 차차 좋아지기 때문에 대부분은 치료 대상이 아니지만 정도가 심하면 심각한 고통을 유발하거나 아이의 성장에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며 평소 악몽을 자주 꾸는 아이들에게는 부모의 지지와 위안이필요하며,무서운 내용의 비디오, 만화책 등은 악몽을 유발할 수 있어 자제하는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 몽유병, 조용하기도 흥분하기도

4~8세의 약 1~5%정도에서 나타나며, 수면시간 전반 1/3부분에 갑자기 잠자리에서 일어나 돌아다니는 몽유병은 증상이 복잡하고 지속시간에도 변화가 많다.

몽유병이 발생하면 복잡한 행동양상을 보인다. △목적 없이 방황하고 △이유 없이 물건들을여기에서 저기로 옮기거나 가구를 이동시키고 △옷장에 소변을 보기도하고 △집 밖으로 나가기도 한다. 드물게는 △눈은 크게 뜨고 있으나 초점이 없어 보이고 △중얼거리기도 하며 △광폭하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몽유병 중에는 대화가 거의 불가능하며 깨어난 이후몽유병 중의 행동을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

몽유병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스트레스, 극심한 피로, 수면박탈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몽유병의 치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부모의 병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부모에 대한 상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 몽유병은 사고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가급적 1층에서 잠을 자도록하고침실 문은 잠궈둔다. 창문에 두꺼운 커튼을 쳐 밖으로 나가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자칫 다칠수있는 물건들은 침실에서 최대한 치워놓는 것이 좋다.

▲ 야경증, 가족력에 영향 받아

야경증은 가장 극적인 각성장애로 수면 중에, 특히 깊은 수면단계로 접어든지 2~3시간 이후에일어나서 강한 발성과 동작, 고도의 자율신경반응을 동반하는 심한 공포와 공황상태를 말한다.이 증상은 수면의 처음 1/3부분에서 발생하며 4~12세 아이들,특히여아에서더흔하게나타난다.

야경증의 원인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다. 부모 모두에게 야경증이 있었던 경우 60%, 한쪽 부모만 있었던 경우에는 45%에서 아이가 야경증을 보인다.

을지대학교병원 신경과 장상현 교수는 야경증은 피로나 심한 스트레스와도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며 특히 낮에 너무 많이 놀았거나 힘든 일을 겪었을 경우 이런 증상을 더 많이 보인다고 말한다.

주된 증상으로는 극도의 공포감이 동반된 비명으로 시작해 벽을 치거나 방에서 놀란 듯이 뛰어 돌아다니는 등의 불안감을 보이며, 맥박과 호흡이 빨라지고 동공이 확대되며 식은땀을 흘리기도 한다. 또 잠에서 깬 뒤에는 자신의 행동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아이가 이런 증상을 보일 때, 부모가 화를 내거나 다그치는 것은 오히려 야경증을 악화시킬수있으며, 지난밤에 있었던 일에 대해 야단을 치는 것 또한 수치심과 불안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삼가야 한다. 아이가 이 같은 증상으로 보일 경우, 사고의 위험이 없다면 그냥 내버려두거나 품에 안아주어 아이를 안정시키는 것이 좋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